목록CS (11)
꾸물꾸물 졔의 개발공부

Cache (캐시)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장소 Cache는 저장 공간이 작고 비용이 비싼 대신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 Cache 사용을 고려하는 경우 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를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반복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불러오는 경우 Cache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으면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결국 Cache란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불러오는 경우에, 지속적으로 DBMS 또는 서버에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Memory에 데이터를 저장해 놓았다가 불러다 쓰는 것을 의미한다. Enterprise급의 Application에서는 DB의 부하를 줄이고, 성능을 높이기 위해 DB 스케일 인/아웃 방식 외에 캐시(Cac..
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 구조화된 쿼리 언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RDBMS)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저장, 수정, 삭제 및 검색할 수 있는 언어이다. SQL 자체가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쿼리 언어를 뜻하는 것이지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정해진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가 테이블에 저장된다. 관계를 통해서 연결된 여러개의 테이블에 분산되어 저장한다. 1. 정해진 스키마 테이블에 데이터가 저장될 때에는 레코드(record)로 저장이 되며, 각 테이블마다 정의된 구조가 있다. 여기서 구조란, 특정 테이블에 어떤 데이터가 들어가고 말지를 정의..
재사용할 수 있는 객체지향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설계 시에는, 지금 당장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하겠지만, 이후에 같은 문제가 발생하거나 추가된 문제나 요구사항도 수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이고 포괄적이어야 한다. 개발을 꾸준히 하다보면, 이전에 사용했던 코드나 방법을 거의 똑같이 사용하기도, 변형해서 유사하게 사용하기도, 또는 또 다른 방법을 찾아서 구현하기도 한다. 디자인 패턴은, 설계자로 하여금 재사용이 가능한 설계는 선택하고, 재사용을 방해하는 설계는 배제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이미 만든 시스템의 유지보수나 문서화, 명세 등을 정확하게 개선할 수도 있다. 즉, 디자인패턴은 설계자들이 올바른 설계를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디자인 패턴이란 ? 소프트웨어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