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물꾸물 졔의 개발공부

[CI/CD] CI/CD란? - 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 본문

DevOps/CI|CD

[CI/CD] CI/CD란? - 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

체제 2023. 3. 30. 20:05

매번 개발자가 코드를 수정하고 빌드와 테스트를 한 후, 배포까지 한다면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하지만 Git에 코드를 올리기만 하면 빌드와 테스트, 배포가 자동으로 된다면 쓸데없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개발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 

 

CI/CD

CI/CD는 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livery, 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를 뜻한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계부터 배포까지의 모든 단계를 자동화하여 좀 더 효율적이고 빠르게, 그리고 빈번히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CI (Continuous Integration) 란

CI는 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인 지속적인 통합을 의미한다. CI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코드 변경이 생겼을 때, 변경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 되어 Git 공유 리포지토리에 병합(merge) 된다. 따라서 여러 명의 개발자가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련된 코드 작업을 할 경우 서로 충돌 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지속적 통합은 소스/버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변경사항을 정기적으로 커밋하여 함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 작업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커밋할 때마다 빌드와 일련의 자동 테스트가 이루어져 동작을 확인하고 변경으로 인해 문제가 생기는 부분이 없도록 보장한다. 지속적 통합은 CI/CD 파이프라인 구축을 위한 첫 단계이다.

 

CI는 간단히 말해 빌드/테스트 자동화 과정이다.

 

1. 코드 변경사항을 주기적으로 빈번하게 merge

예를 들어, 여러명의 개발자들이 하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git 과 같은 형상 관리 툴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해보자. 

 

2명 이상의 개발자들이 프로젝트에 협업을 하면서 같이 개발을 하는데, 빈번하게 코드 변경사항을 merge 하지 않고 오랜 기간 개발을 진행하다가 며칠이 지난 후에야 많은 코드를 한 번에 merge 한다면 .... 분명하게 충돌되는 많은 코드가 생길 수 있다 !!! 

 

이렇게 되면, 새로운 기능을 구현 하는 것 보다, 충돌하는 코드들과 버그를 수정하는데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한 작은 단위로 나누어서 주기적으로 빈번히 개발하고 변경사항을 계속해서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1. 개발자들은 계속해서 짧은 단위로  github와 같은 관리 시스템에 변경 사항을 통합(merge) 한다. 
2. 통합한 코드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빌드 및 테스트를 진행한다.
3. 버그가 발생하면 다시 버그를 해결 한 후,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2. 통합 단계의 자동화 

위의 단계는 많은 코드의 충돌과 버그를 막을 수는 있지만, "귀찮다는 단점" 이 있다. 새로운 변경사항을 매번 빌드하고 테스트 하는 과정은 개발자가 굳이 직접 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이다. 

 

이 과정을 자동화 해준다면, 즉 github에 코드만 올리고 나머지 작업인 빌드와 테스트는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해준다면, 똑같이 반복되는 작업을 할 필요도 없고 문제도 더 적어지는 방법일 것이다. 

1. 위 과정과 동일하게 개발자들은 관리 시스템에 작업한 코드를 통합한다.
2. 빌드 및 테스트는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버그가 발생하면 해당 버그만 처리하면 된다.

 

👍CI의 장점

  • 코드의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든다. 
  • 개발 편의성이 증가한다. 
  • 테스트 코드를 통과한 코드만이 레포지토리에 올라가기 때문에, 좋은 코드 퀄리티를 유지할 수 있다. 

 


2️⃣CD (Continuous Delivery) 란

CD는 Continuous Delivery, 지속적인 제공이라는 의미와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인 배포라는 두가지의 의미가 있다. 이 두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모두 파이프라인의 추가 단계에 대한 자동화를 뜻한다. 또한, 얼마나 많은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 지속적인 제공 :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변경 사항이 테스트를 거쳐 GitHub와 같은 리포지토리에 자동으로 업로드 되는 것을 의미한다. 운영팀은 이 리포지토리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시간 프로덕션 환경으로 배포할 수 있다.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새로운 코드를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지속적인 배포 : 개발자의 코드 변경 사항을 리포지토리에서 고객이 사용 가능한 서비스 환경까지 자동으로 릴리즈하는 것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의 제공 속도를 저해하는 수동 프로세스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파이프라인의 다음 단계를 자동화함으로써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의 장점을 활용한다. 

 

예로, CI과정에서 빌드 되고 테스트 된 후에, 배포 단계에서 release 할 준비 단계를 거치고 문제가 없는지 / 수정할 것이 없는지 개발자가 검증을 한다. 검증 이후에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도 되겠다고 결론이 나면, 수동적으로 배포를 진행하는 것이 "Continuous Delivery, 지속적인 제공" 이다.

 

또한, 위와 같이 배포할 준비가 되자마자 자동화를 통해 배포를 진행하는 것이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인 배포" 이다.

 

CD는 간단히 말해 배포 자동화 과정이다.

1. CI과정을 통해 코드를 검증한다.
2. 배포 환경과 비슷한 곳에서 검증을 진행한다.
3. 검증된 코드를 실제 서비스화 하여 배포한다.

 

 

👍CD의 장점

  • 개발자는 배포보다는 개발에 더욱 더 집중 할 수 있다.
  • 개발자는 수작업 없이 빌드, 테스트, 배포까지의 과정을 자동화 할 수 있다. 

'DevOps > CI|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CD] CI/CD 매뉴얼 (Jenkins, Docker, React, Django)  (0) 202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