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물꾸물 졔의 개발공부
[Spring JPA] JPA란 본문
JPA (Java Persistence API)
JPA란 자바 진영에서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 표준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모음이다. 즉, 실제적으로 구현된 것이 아니라 구현된 클래스와 매핑 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이다. JPA를 구현한 대표적인 오픈소스로는 Hibernate가 가장 대중적이다.
❔ORM
Object Relational Mapping(객체-관계-매핑)의 약자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객체와 관계형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자동으로 매핑(연결) 해주는 도구이다. 즉. 객체와 RDB테이블 사이의 중계자 역할을 하며 자동으로 데이터를 테이블에 영속화 해준다.
ORM 사용 이유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클래스를 이용하고, 관계형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이용하는데 객체-관계형 모델간의 불일치가 존재한다.
- ORM을 이용하면,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을 프로그래밍 언어 (객체) 의 관점에서 맞출 수 있다.
- SQL문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 엔티티를 객체로 표현할 수 있다.
장점
- SQL Query가 아닌 Method를 통해 DB에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자는 객체지향적인 프로그래밍,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는 쿼리를 생성하지만, 개발자는 신경 쓸 필요 X)
- 쿼리문을 일일히 작성하는 것이 아닌, 각종 객체에 대한 코드를 별도로 작성하기 때문에 코드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 SQL의 절차적이고 순차적인 접근이 아닌 객체 지향적인 접근으로 생산성이 증가한다.
- 객체 간 관계를 바탕으로 SQL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RDMS의 데이터 구조와 프로그래밍 언어의 객체모델 사이의 간격을 좁힌다.
- DB에 종속적이지 않다.
단점
- 프로젝트의 규모가 크고 복잡하여 설계가 잘못된 경우, 속도 저하 및 일관성이 무너진다.
- 즉, 사용은 편리하지만 설계는 신중하게 해야한다.
- 복잡하고 무거운 Query는 속도를 위해 별도의 튜닝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SQL 문을 써야할 수도 있음
- 학습비용이 비싸다.
❗JPA
- Java 진영에서 ORM 기술 표준으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모음
-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방식을 정의한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Hibernate, OpenJPA 등이 JPA를 구현
JPA는 반복적인 CRUD SQL을 처리해준다. JPA는 매핑된 관계를 이용해서 SQL을 생성하고 실행하는데, 개발자는 어떤 SQL이 실행될지 생각'만' 하면 되고, 예측도 쉽게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JPA는 네이티브 SQL이란 기능을 제공해주는데 관계 매핑이 어렵거나 성능에 대한 이슈가 우려되는 경우 SQL을 직접 작성할 수도 있다.
JPA를 사용하면 SQL이 아닌 객체 중심으로 개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산성이 좋아지고 유지보수도 수월하다.
JPA 의 동작 과정
JPA는 애플리케이션과 JDBC 사이에서 동작한다. 개발자가 JPA를 사용하면, JPA 내부에서 JDBC API를 사용하여 SQL로 DB와 통신한다. 즉, 개발자가 JDBC API를 직접 사용할 필요가 없다.
(1) 저장과정
개발자가 JPA에 A라는 객체를 넘기면, JPA는 다음과 같이 저장한다.
- A 엔티티 분석
- INSERT SQL 생성
- JDBC API를 사용해서 SQL를 DB에 날린다.
(2) 조회과정
개발자는 A라는 객체를 조회하기 위해 a 객체의 pk값을 JPA에 넘기면, JPA는 다음과 같이 조회한다.
- A엔티티의 매핑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SELECT SQL를 생성
- JDBC API를 사용하여 SQL을 DB에 날린다.
- DB로 부터 결과값을 받아온다.
- 결과(ResultSet)를 객체에 모두 매핑한다.
✔️쿼리를 JPA가 직접 생성해주기 때문에 Object와 RDB간의 패러다임 불일치를 해결 할 수 있다.
JPA 의 사용 이유
1. SQL 중심적인 개발에서 객체중심적인 개발이 가능하다.
2. 생산성이 증가한다.
- DDL문 자동 생성
- 간단한 메소드로 CRUD 가능
- SQL을 작성하고 JDBC API를 사용하는 반복적인 일을 JPA가 대신 처리해준다.
3. Object와 RDB간의 패러다임 불일치 해결
- 상속/연관관계/객체 그래프 탐색/비교하기 와 같은 패러다임 불일치 해결
- 객체-RDB 패러다임 불일치
( + JPA를 사용했을 때의 장/단점은 ORM의 장/단점과 유사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pring vs Springboot 차이점 (0) | 2023.03.29 |
---|---|
[Spring JPA] 패러다임의 불일치 (0) | 2023.03.27 |
[Spring] 스프링 IOC (Inversion of Control) (0) | 2023.03.14 |
[Spring] 스프링 DI (Dependency Injection) (0) | 2023.03.14 |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란 (0) | 2023.03.09 |